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사진=REUTE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   조회수: 8 날짜: 2025-04-13

본문

사진=REUTERS 한·미·일 인공지능(AI) 서비스 이용자들의 챗GPT 사용법에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오픈서베이의 'AI 검색 트렌드 리포트 2025'에 따르면 챗GPT 사용 중 기대한 결과가 한 번에 나오지 않을 때 해본 행동(중복 답변 허용)으로 한국인의 74.3%는 '질문을 다시 입력'한다고 답했다.반면 미국은 질문은 그대로 놔둔채 '답변을 다시 생성(48.6%)'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질문을 다시 입력한다는 답변은 47.1%였다. 한국인의 경우 '답변을 다시 생성'한다는 답이 33.2%에 불과했다. 일본인은 '생성형AI가 아닌 다른 일반 검색 서비스를 이용(56.1%)'한다는 답이 많았다. '질문을 다시 입력'한다는 일본인 이용자는 52.7%였다. 한국과 미국, 일본 이용자들의 챗GPT 이용 방식에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 리포트는 "한국은 질문을 수정하면서 AI 검색 결과를 최적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미국은 명령 수행 빈도를 늘려 원하는 답변을 얻고자 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며 "일본은 10명 중 5~6명이 챗GPT의 답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일반 검색 서비스로 이탈하는 특성을 보였다"고 분석했다.한국과 미국은 주료 자료 수집, 일본은 대화 상담 목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현 AI 서비스를 한번이라도 이용한 한국인 중에 자료 수집(46.8%), 정보 스크랩, 요약(36.2%), 학습 및 자기계발(35.3%)을 위해 이용한다고 밝혔다. 미국인 역시 자료 수집(45.5%), 학습 및 자기계발(44.1%), 일상 정보 탐색(38.3%) 등 순이었다. 반면 일본은 대화, 상담(34.7%)을 위해 생성AI를 쓴다는 답이 많았다.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산불 현장서 구조된 길고양이 [부산동물사랑길고양이보호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경북 의성에 사는 김모(81) 할머니는 최근 경북을 휩쓴 대형 산불에 집을 잃었다.할머니가 화마로 잃은 것은 집 한 채만이 아니었다.그동안 가족처럼 함께 살아온 반려동물이 대부분 목숨을 잃었다. 개와 고양이는 물론 염소와 닭을 키우던 할머니는 불쌍해 보이는 동물을 보면 사 오거나 데려와 자식처럼 정성껏 보살폈다.급속도로 번진 이번 화재 때 할머니는 가까스로 현장을 빠져나왔다.동물들이 있는 축사의 문이라도 열어주려고 했지만, 끝내 실패했다. 본인도 화상을 입고 말았다.현재 친척 집에 머무는 할머니는 매일 타버린 집을 찾아가 살아남은 고양이 20마리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최근에는 더 이상 먹이를 구하지 못해 동물단체에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박혜경 부산동물사랑길고양이보호연대 대표는 "김모 할머니가 동물을 대피시키려다가 화상을 입어 입원까지 하게 됐다"며 "남은 고양이를 잘 돌볼 수 있도록 사료 200㎏를 지원했다"고 말했다.이어 "동물을 구조하기 위해 산불 현장을 다니다 보면 가족처럼 돌봐온 동물들이 걱정돼 작은 사료 봉지를 들고 잿더미가 된 마을을 헤매는 어르신들이 곳곳에 보인다"고 전했다. 사료 먹는 길고양이 [부산동물사랑길고양이보호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영남권을 휩쓴 대형 산불이 진화된 지 10여 일이 지난 지금도 살아남은 동물을 보호하려는 지역 주민과 동물 단체의 고군분투가 계속되고 있다.경북 의성의 한 대피소에 머무는 어르신들은 평소 동네에서 돌보던 고양이 등 동물들에게 사료를 직접 주고 있다.수십 킬로미터에 달하는 거리를 매일 오가며 살아남은 동물들의 구세주 역할을 하고 있다.규정상 재난 대피소에는 동물을 데리고 들어갈 수 없다.동물단체도 재난 지역을 찾아 다니며 급식소를 설치하고 '생존 밥차'를 운영해 동물들이 자유롭게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했다.화상이나 골절상을 입는 등 다친 동물들은 병원으로 옮겨 치료받도록 했다.동물 사료 업체가 사료를 지원하기도 했다. 박혜경 대표는 "화마가 휩쓸고 간 마을에는 동물들만 덩그러니 남아 있다"며 "재난 상황에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함께 보호받을 수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