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제작한 지브리 스타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화력발전소.[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일주일 만에 7억장 만들었다”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챗GPT ‘지브리’ 이미지 변환. 사진이 순식간에 그림으로 바뀌는 경험에, 출시 후 일주일간 1억명이 넘는 사람들이 챗GPT를 찾았다.하지만 기술의 발전에는 어두운 이면이 존재한다. 생성형 AI 이미지도 마찬가지. 바로 그림을 제작하는 데 막대한 전력이 쓰이고 있다는 점이다.전력 소비는 그 자체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전력을 만들기 위해 대량의 탄소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할 수는 없다.최근 일주일간 챗GPT AI 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 배출된 탄소만 약 1831톤. 같은 기간 여의도 50배 면적의 숲에서 흡수하는 양에 맞먹는다. 9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헤럴드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에서 발언하고 있는 지드래곤 KAIST 교수 겸 가수.[대전=임세준 기자]. 오른쪽은 해당 사진을 챗GPT로 변환한 모습.[챗GPT를 사용해 제작] 오픈AI는 지난달 25일 챗GPT에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추가했다. 그중에서도 인기를 끈 건 ‘지브리 스타일’. 일본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가 제작하는 애니메이션의 화풍을 반영해 이미지를 제작해 주는 것이다.브래드 라이트캡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CO)는 최근 SNS를 통해 이미지 생성 기능 업데이트 일주일 만에 약 1억3000만명의 이용자가 7억 개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했다고 밝혔다. 각종 인물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는 유행이 SNS를 타고 빠르게 번진 영향이다. 독자가 그린 그림(왼쪽)을 바탕으로 4컷 웹툰을 만들어달라고 챗GPT에 입력하자, 챗GPT가 제작한 웹툰. 이용자의 화풍을 그대로 구현해 제작한 것이 눈에 띈다. [독자 제공] 문제는 AI 이미지 제작 유행으로, 막대한 양의 전력 소모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 특히 이미지 생성의 경우 AI 채팅 등 기존 세종시 세종동 일원. 쿠키뉴스DB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후속대책으로 설립된 국토교통부 산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이 최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주요 대선주자들이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방안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세종시 부동산도 활기를 띠고 있다.12일 관련기관에 따르면 행복청은 지난해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을 위한 설계 공모 운영위원회와 지침을 마련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중 건축물 및 도시계획 설계 공모를 추진할 계획이다.행복청 관계자는 “세종시 일대에 도시계획 등을 통합해서 설계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 현재 이를 위한 관리 용역도 진행 중”이라면서 “정부청사가 위치한 세종동 일원에서 후보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또 “상반기 중에는 사업 공고를 목표로 하고는 있으나, 최근 (정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일정이 좀 조정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세종의사당 건립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 구성된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위원회를 중심으로, 국회사무처가 직접 설계와 공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행복청은 도시계획 반영과 교통 및 주거 대책 등 부대사항을 지원하고 있다.이와 관련 행복청 관계자는 “위원회가 구성 이후 관계 기관들과 설계 및 공사에 대한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예산에 반영된 국회 세종의사당 토지매입비 350억원은 올해로 이월됐다. 이르면 하반기 정부가 토지주들과 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이처럼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의 세종시 이전 이슈가 부각된 배경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발언이 있다. 그는 2월말 지도부 회의에서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뿐만 아니라 김경수, 김두관 등 야권 대선주자들도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에 뜻을 같이하고 있다.실제 민주당은 4월 들어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무산됐던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관련 법안은 이르면 이달 중순쯤 발의될 예정이다. 대통령 집무실뿐만 아니라 국회 이전 등도 포함될 전망이다.민주당 한관계자는 “새 정부가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