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었을 것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멸종위기종 산양(왼쪽)과 반달가슴곰. 연합뉴스, 국립공원공단 제공 영남권에 불어닥친 대형 산불은 동물에게도 전례 없는 피해를 남겼다. 사람과 함께 대피소에 가지 못한 개와 고양이들의 피해 사례가 속출했고, 동물단체들은 현장으로 달려가 구조와 치료에 전념했다. 너무 다급한 나머지 보호자가 미처 개 목줄을 풀어주지 못한 경우도 상당수였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재난 대책은 없었다. 2019년 강원 고성 산불 당시 동물에 대한 재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6년이 흘렀어도 바뀐 건 없었다.'사람이 먼저'를 부인하고자 하는 건 아니다. 다만 동물을 위한 대피 체계를 마련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큰 차이가 있다. 동물 가운데서도 상대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구조는 이뤄지고 있지만 다른 동물들의 상황은 어떨까. 이번 산불로 가축 20만 여마리가 죽었다고 한다. 가축 피해가 그나마 추산되는 건 농민들의 피해를 보상하고 지원하기 위함이다.연관기사 • 산불에도 대피소 못 가는 반려동물···고성 산불 이후 6년 허송세월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3116540002927) • 목줄에 묶여 화마에 노출된 엄마개···산불 속 동물 구조 나선 동물단체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2415340001666) 하지만 가장 피해를 입었음에도 추정조차 되지 않는 건 산을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는 야생동물이다. 초속 20m를 넘는 강풍에 건조한 날씨까지 겹치면서 순식간에 확산된 산불을 야생동물들이 제대로 피할 수 있었을까. 더욱이 목숨은 건졌다고 해도 살 곳이 사라져버린 것 아닌가. 경북 영양군에서 산불 피해 속 살아남은 염소. 호흡기 증상으로 긴급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동물자유연대 제공 전북 정읍시 소성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인근 마을까지 번진 지난달 25일 임시소방본부 한편에 구조된 개가 재를 뒤집어쓴 채 보호자를 기[앵커] 과테말라는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자리해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발생합니다. 지난 2018년엔 푸에고 화산이 대폭발하며 사망자 200여 명에 달하기도 한 데다가, 지난달에도 화산 분출로 마을 주민 천여 명이 긴급 대피하는 상황도 있었는데요. 과테말라 정부는 화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성우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희뿌연 화산재가 하늘로 치솟더니 시뻘건 용암이 분출합니다. 화산재 구름이 삽시간에 온 마을을 뒤덮고 자동차와 오토바이로 도망쳐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지난 2018년, 40년 만에 푸에고 화산이 대폭발했을 당시 모습입니다. 당시 2백여 명이 사망한 참혹한 대폭발의 흔적은 지금도 주변 마을을 뒤덮고 있습니다. [룻 리바스 / 포르베니르 마을 주민 : (오요테 마을은) 모든 걸 잃었습니다, 가 보시면 알겠지만, 폐허가 돼가는 빈집들만 덩그러니 있을 뿐이죠.] 수도 과테말라시티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푸에고 화산은 중미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화산으로 꼽힙니다. 지난달에도 7년 만에 분화가 시작해 주민 천여 명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을 정돕니다. [프란시스코 게라 / 포르베니르 마을 주민 : 이젠 화산 활동이 격화되면 주민들이 대피를 잘하는 데, 예전 폭발의 공포감 때문일 겁니다.] 푸에고 화산이 언제 다시 분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주민 약 13만 명이 영향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과테말라 기상청은 24시간 화산 감시 활동을 하면서 재난대책본부와 지자체와의 연락망을 긴밀히 이루고 있습니다. 아울러 화산 폭발이 지진과도 관련된 만큼 지자체들은 주민을 대상으로 화산 분화 시 대응 요령을 교육하고 수시로 경보 체계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세르히오 곤잘레스 / 알로테난고 군수 : 제가 군수로서 주민들에게 말씀드리는 점은 사후 조치가 아닌 대피 등 예방적 대응만이 인명 피해를 막는 최선책이라는 것입니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아예 막을 순 없겠지만, 과테말라 사람들은 예방적 대응을 통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과테말라에서 YTN 월드 김성우입니다. YTN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