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구내식당에서 청사 직원들이 속보를 확인하고 있다. 2025.04.04. dahora83@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면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비롯한 주요 환경 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2035 NDC는 윤석열 정부에서 수립을 시작했지만 차기 정부가 완성하게 됐다. NDC는 각국이 향후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얼마나, 어떤 경로로 줄일지를 담은 계획으로, 정부는 올해 9월 안에 2035 NDC를 유엔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3월부터 전문가 논의와 부처 협의를 거쳐 2035 NDC 수립을 진행해왔지만, 탄핵과 조기 대선이 큰 변수로 작용하게 됐다. 누가 집권하느냐에 따라 목표치와 로드맵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과거 사례만 봐도 NDC의 방향성은 정부마다 크게 달랐다.문재인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의지와 국제적 책임을 강조하며 2030 NDC를 26.3%에서 40%로 상향했으나, 윤석열 정부는 이 목표치가 국내 산업계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비현실적 목표라며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4.5%에서 11.4%로 낮췄다.이를 실현시킬 로드맵에서도 두 정부는 큰 차이를 보였다. 탈원전 기조였던 문재인 정부는 에너지믹스에서 원전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반면, 윤석열 정부는 원전을 발전 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 수단으로 삼았다. '기후환경부'의 운명도 확실치 않아졌다. 환경부는 기후 의제를 주도할 수 있도록 '기후환경부'로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밝혀왔다. 각 부처에 흩어진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관련 정책들을 환경부가 총괄해 기후위기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치권에서도 기후위기 문제를 전담할 컨트롤타워 부처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있다. 각론에는 차이가 있지만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시사저널=이동수 청년정치크루 대표)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이 거듭 증가하고 있다는 건 이제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통계청은 지난 2월 15~29세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가 50만4000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월 44만3000명에서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 인구가 50만 명을 넘어선 건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초다. 여기에 더해 취업준비생이 43만 명, 실업자가 27만 명이다. 청년 120만 명이 백수인 셈이다. 20년 전 《논스톱》이라는 시트콤에서 고시생 캐릭터로 등장했던 신화의 앤디가 "청년실업이 40만 명에 육박하는 이때"라고 말하던 때가 호시절처럼 느껴진다. 국민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30·40세대 여야 의원들이 3월23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 나은 연금 개혁을 요구하는 국회의원'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왼쪽부터 민주당 이소영, 국민의힘 김재섭, 개혁신당 이주영, 민주당 전용기, 개혁신당 천하람, 민주당 장철민, 국민의힘 우재준 의원 ⓒ연합뉴스 20대 창업자의 52%가 음식점 사장님청년들이 그냥 쉬는 가장 큰 이유는 일자리의 질 때문이다. 한국은행 조사에서도, 고용노동부 조사에서도 '쉬었음'의 주된 이유는 '적합한 일자리가 없다'는 것이었다. 눈이 높다고 보긴 어렵다. 이들은 눈높이를 낮출 만큼 낮췄다. '킹산직(King+생산직)'이라는 단어에서 엿볼 수 있듯 청년들은 처우만 제대로 해준다면 어떤 일이든 꺼리지 않는다. 처우는 열악한데 업무는 고되고 비전도 보이지 않는 일자리를 피하고 있을 뿐이다.어지간하면 일을 하고 싶은데 양질의 일자리에 진입할 기회는 점점 사라진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 주요 대기업들이 공채를 폐지하면서다. 기업들도 사연은 있다. 산업이 고도화하고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예전처럼 사람을 왕창 뽑아 기업 특성에 맞게 훈련하는 방식으로는 시대 흐름에 적응할 수 없게 됐다. '범용 인재'의 효용성이 떨어진 것이다. 사정이 이러니 그때그때 준비된 인재를 필요한 만큼 채용하는 경력직 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이런 상황에선 경력 없는 청년 구직자들이 끼어들 틈이 없다. 그 충격은 이공계보다 인문계에 더 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