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짬] 4·3목판화 세 도시 동시전 박경훈 작가작품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   조회수: 2 날짜: 2025-04-11

본문

[짬] 4·3목판화 세 도시 동시전 박경훈 작가작품 [짬] 4·3목판화 세 도시 동시전 박경훈 작가작품 ‘초대받지 못한 사람들-위패봉안실2’ 앞에 선 박경훈 작가. 허호준 기자“제주4·3 군사재판 수형인은 물론 일반 재판 수형인까지 재심 재판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고,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금 지급이 이뤄지고 있잖아요. 분명히 역사의 진전입니다. 그런데 뭔가 비어있는 구석이 있어요. 그 빈 부분이 결국 이름 없는 ‘4·3’을 만드는 배경이기도 하죠. 작품을 만들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은 절박함이 있었습니다.”지난 9일 제주시 원도심에 있는 갤러리 포지션 민에서 만난 판화가 박경훈 작가가 제주(4월3일∼5월31일)와 서울(갤러리 나무아트, 4월2∼15일), 광주(오월미술관, 4월7일∼5월31일) 3곳에서 동시에 전시를 하는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4·3 목판화 초대 개인전 ‘백골난감-이름 잃은 항쟁에 바치는 때늦은 조사(弔辭)’는 지금도 이름을 찾지 못한 ‘4·3’에 이름을 붙이는 작업이자, 여전히 해원하지 못한 채 구천을 떠도는 항쟁 주체세력에 대한 애도의 작업이다. 작품은 전체 23점이다.작가는 ‘애도의 차별’에 주목한다. 박 작가는 “4·3평화공원을 조성하면서 내건 4·3 해결의 정신은 화해와 상생”이라며 “그러나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를 동시대의 희생자로 인정한다는 공감대에도 배제와 차별의 국가폭력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작품 ‘어떤 모자-역사 정의 실현 만세’ 앞에 선 박경훈 작가. 허호준 기자“수년 동안 계속되는 재심 재판을 보면서 담에 걸린 것처럼 답답했어요. 무엇이 나를 답답하게 만들고 있나, 생각하다 보니 여전히 희생자로 인정받지 못한 배제자들이 떠올랐지요. 그 후손들은 또 어떻습니까. 그들에게 4·3은 계속되는 것이지요. 판화가로서 이것을 새겨둬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그의 작품은 ‘백골’이 들어가 섬뜩할 것 같지만, 작품 속 백골들은 아련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다. 살아서 움직이는 듯 생동감이 있다.2019년 1월17일, 제주4·3 수형 생존자들이 제주지방법원 앞에서 재심 무죄 선고가 이뤄지자 만세를 외쳤다. 그의[짬] 4·3목판화 세 도시 동시전 박경훈 작가작품 ‘초대받지 못한 사람들-위패봉안실2’ 앞에 선 박경훈 작가. 허호준 기자“제주4·3 군사재판 수형인은 물론 일반 재판 수형인까지 재심 재판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고,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금 지급이 이뤄지고 있잖아요. 분명히 역사의 진전입니다. 그런데 뭔가 비어있는 구석이 있어요. 그 빈 부분이 결국 이름 없는 ‘4·3’을 만드는 배경이기도 하죠. 작품을 만들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은 절박함이 있었습니다.”지난 9일 제주시 원도심에 있는 갤러리 포지션 민에서 만난 판화가 박경훈 작가가 제주(4월3일∼5월31일)와 서울(갤러리 나무아트, 4월2∼15일), 광주(오월미술관, 4월7일∼5월31일) 3곳에서 동시에 전시를 하는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4·3 목판화 초대 개인전 ‘백골난감-이름 잃은 항쟁에 바치는 때늦은 조사(弔辭)’는 지금도 이름을 찾지 못한 ‘4·3’에 이름을 붙이는 작업이자, 여전히 해원하지 못한 채 구천을 떠도는 항쟁 주체세력에 대한 애도의 작업이다. 작품은 전체 23점이다.작가는 ‘애도의 차별’에 주목한다. 박 작가는 “4·3평화공원을 조성하면서 내건 4·3 해결의 정신은 화해와 상생”이라며 “그러나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를 동시대의 희생자로 인정한다는 공감대에도 배제와 차별의 국가폭력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작품 ‘어떤 모자-역사 정의 실현 만세’ 앞에 선 박경훈 작가. 허호준 기자“수년 동안 계속되는 재심 재판을 보면서 담에 걸린 것처럼 답답했어요. 무엇이 나를 답답하게 만들고 있나, 생각하다 보니 여전히 희생자로 인정받지 못한 배제자들이 떠올랐지요. 그 후손들은 또 어떻습니까. 그들에게 4·3은 계속되는 것이지요. 판화가로서 이것을 새겨둬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그의 작품은 ‘백골’이 들어가 섬뜩할 것 같지만, 작품 속 백골들은 아련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다. 살아서 움직이는 듯 생동감이 있다.2019년 1월17일, 제주4·3 수형 생존자들이 제주지방법원 앞에서 재심 무죄 선고가 이뤄지자 만세를 외쳤다. 그의 작품 ‘우리는 죄 없는 사람’ 속에는 만세를 외치는 수형 생존자들 사이에 언뜻언뜻 백골이 보인다. 어떤 백골은 고뇌에 찬 모습으로 두개골을 쥐고 있고, 어깨에 총을 둘러멘 어떤 백골은 ‘4·3 당시 수괴급 재심청구서’를 들고 무엇인가 외치고 있다. 백골이 된 그들은 4·3 희생자로 인정되지도 않았고, 재심 청구 대상도 아니다.작품 ‘해후2’.헌법재판소는 2001년 보수 인사들과 단체가 정부를 [짬] 4·3목판화 세 도시 동시전 박경훈 작가작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