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   조회수: 1 날짜: 2025-05-02본문
HD현대가 협력하는 미국 최대 방산 조선업체인 헌팅턴 잉걸스 조선소에서 군함을 개량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 잉걸스 누리집 갈무리 미국 의회가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을 재발의했다. 기존 법안보다 중국 선박에 대한 견제가 강화돼 한국 조선사들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그러나 동시에 미국 내 선박 건조를 의무화하는 조항들도 늘어나 현지 투자에 대한 기업들의 고민도 커질 전망이다.지난달 30일(현지시각) 미국 119대 상·하원에는 ‘미국의 번영과 안보를 위한 조선업과 항만시설법’(SHIPS for America Act·이하 선박법)이 재발의됐다. 이 법안은 지난해 12월 발의됐다가 의회 회기(118대) 종료로 자동 폐기됐다. 이날 민주당과 공화당 일부 의원들은 마크캘리 상원의원(민주당) 주도로 법안을 공동으로 재발의했다.법안에는 이전과 동일하게 상선 확대 내용이 담겼다. 국제 운송에 사용할 수 있는 선박을 현재 약 93척에서 최대 250척까지 늘려 미국 조선업을 재건해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핵심 기구 설립, 펀드 기금 조성, 전략상선단(SCF) 신설, 지원 프로그램 도입, 인력 개발, 세제 혜택 등을 추진하는 내용이 법안에 담겼다.법안은 250척 선박을 확보하기 위해 외국에서 건조된 배도 전략상선단에 포함하기로 했다. 한국 조선소에서 만든 선박도 관련 수주를 따낼 수 있다는 것으로 국내 조선사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외국산 선박의 전략상선단 편입을 허용하는 기간은 애초 2029년까지였으나 새 법안에서는 2030년으로 변경됐다.재발의 법안엔 새로운 내용도 추가됐다. 중국 국영 조선사인 중국선박공업그룹(CSSC)과 유의미한 거래를 하는 선주에 대해 벌칙을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이 벌칙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지난달 17일 발표한 중국산 선박 입항 수수료 제재와 별개로 부과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중국선박공업그룹의 산하에는 36개의 조선소가 존재한다. 입항 수수료 제재에 중국선박공업그룹과의 거래 제재 방안까지 더해질 경우 글로벌 해운사들의 중국산 선박 기피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 조선사들에게는 이 역시 수혜다. 해운사들이 중국 대신 한국 조선사로 눈을 돌려 발주를 늘릴 가능성이 크다.새 선박법에는 미국 조선업 자립을 꾀하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등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확대한 4월에도 미국의 고용이 예상보다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로 인한 경기 위축이 예상보다 빠르게 드러나지 않고 있고, 인플레이션은 반등할 위험이 큰 상황에서 연방준비제도는 금리인하에 보다 신중을 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계절조정 기준으로 17만7000개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3월 수정치(18만5000개)보다는 낮지만, 다우존스 예상치인 13만3000개를 크게 웃돈 수치다. 최근 12개월간 월평균 증가치(15만2000개)와 유사한 수준이다. 산업별로 보건의료(5만1000개), 운송·창고업(2만9000개), 금융업(1만4000개), 사회복지(8000개)에서 고용이 증가했고, 반면 연방정부 고용은 9000명 감소했다. 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에서 정부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선 탓이다. 다만 1월 이후 정부 고용은 2만6000개가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는 유급휴가나 퇴직수당을 받고 있는 직원들이 여전히 고용된 것으로 집계되기 때문이다.실업률은 예상대로 4.2%을 유지하며 고용시장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국의 실업률은 지난해 5월 이후 4.0~4.2% 범위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여전히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시간당 평균 임금이 전월보다 0.2% 증가하는 데 그쳐, 전문가 예상치(0.3%)를 밑돌았다. 연율 기준 상승률도 3.8%로, 예상보다 0.1%포인트 낮으며 2024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이번 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해방의 날’ 선언과 함께 전면적 관세정책을 발표한 이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십개 국가를 대상으로 11~50%에 달하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했고, 나머지 국가에는 10% 기본 관세를 부과했다. 다만 국채시장이 급변하자 이를 7월8일까지 90일간 유예한 상황이다. 관세 불확실성에 충격이 컸지만, 예상보다는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프린시펄자산운용의 최고글로벌전략가 시마 샤는 “침체 우려는 당분간 미뤄둘 수 있다. 고용 수치는 여전히 매우 강하며, 관세 충격 이전까지 경제가 얼마나